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언니입니다.
오늘은 에너지 캐시백 신청방법과 그 외 총정리를 한번 해보겠습니다.
에너지 캐시백
에너지 캐시백이란 무엇이고, 지급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.
에너지캐시백 지급방법
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언니입니다. 오늘은 에너지 캐시백 신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올해 초 세종과 전남 나주, 충북 진천 등의 혁신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한 에너지 캐시백 사
onerich722.tistory.com
이처럼 간단히 말해서 효율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면 현금으로 돌려주는 지원사업을 말합니다.
✔ 에너지 캐시백 가입대상
에너지 캐시백의 가입대상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대한 의지가 있는 아파트 및 아파트 개별세대입니다.
👉 주의
단, 신규 아파트 등으로 과거 전기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, 주택용 오피스텔의 경우 가입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✔ 에너지 캐시백 가입방법
한국전력 EN:TER에서 가입 가능하며, 한전 사이버지점 아이디로 로그인 후 서비스 신청이 가능합니다.
👉 신청자
- 아파트의 경우 : 관리사무소(입주자 대표회의)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- 개별세대의 경우 : 세대주 혹은 세대원이 신청 가능합니다.
✔ 에너지 캐시백 신청기간
2022년 7월 4일 ~ 2022년 8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하며, 에너지 절감 활동기간은 2022년 7월 ~ 12월입니다.
👉 주의
단 7월 가입자는 7월분부터, 8월 가입자는 8월분부터 대상기간이 되며, 2023년 2월부터 캐시백이 지급될 예정입니다.
✔ 에너지 캐시백 Q&A
✅ 에너지 캐시백 제도는 무엇인가요?
아파트(가정) 부문의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을 위해 아파트 대상으로 효율적 전기 사용을 유도하고 절감량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✅ 에너지 캐시백은 어디서 가입할 수 있나요?
온라인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마켓플레이스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. 만약 검색 포털을 이용하신다면 한전 '에너지 캐시백'을 검색해주세요. 단, 주민센터나 한전 지사 등을 통한 오프라인 가입은 불가하니 참고해주세요.
✅ 캐시백은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?
한전과 계좌이체거래 약정을 등록한 통장으로 현금 지급됩니다.
에너지 캐시백 가입 시 '기부'를 선택하면 사회적 배려계층에 기부도 가능합니다. 만약 기부를 선택하셨다면 기부영수증 발급도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.
✅ 에너지 캐시백 가입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?
아파트 단지 단위 가입은 관리사무소 또는 입주자 대표회에서, 개별 세대 단위 가입은 세대주 또는 세대원 중 1인이 가입하면 됩니다. 다만, 오피스텔과 과거 1년 미만 전기사용량 데이터만 있는 신축 아파트는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니 참고해주세요.
✅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 고객번호는 어떻게 확인하나요?
에너지 캐시백 가입 화면의 고객번호 입력란에 안내된 방법에 따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✅ 부모님을 대신해서 부모님이 거주하는 아파트 세대의 에너지 캐시백 참여를 대신 신청할 수 있나요?
아파트 세대는 신청인이 해당 주소에 거주하면서 효율적 전기사용을 실천하여 사용량을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캐시백을 지원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해당 주소에 실거주가 확인된 경우만 참여 가능합니다. (세대주 또는 세대원 1인이 신청 가능)
✅ 우리 아파트는 가입신청을 하지 않았는데, 세대만 가입하는 것도 가능한가요?
가능합니다. 아파트 당위 신청 여부와 관계없이 세대별 가입이 가능합니다.
✅ 평균 절감률 산정은 어떻게 하나요? 캐시백 지급 대상은 어떻게 결정되나요?
평균 절감률은 참여한 아파트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한전 사업소(지사) 관할구역별로 산정합니다. 아파트는 각 지사별 관할구역 내 참여단지의 평균 절감률, 세대는 각 지사별 관할구역 내 참여단지의 평균 절감률, 세대는 각 지사별 참여세대의 평균 절감률 이상 절감률을 달성하면 캐시백 지급 대상이 됩니다.
단, 이 경우에도 최소 절감률(3%)잉상의 절감률을 달성한 참여 단지·세대만 캐시백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캐시백 지급 시 지원한도 '절감률 30%에 해당하는 절감량'은 무슨 의미?
과도한 전기사용량 절감으로 인한 불편을 완화하고, 흔하지 않게 절감률이 높은 경우에 대해 캐시백이 과다 지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절감률 30%를 상한 기준으로 설정했습니다.
즉 예를 들어 절감률 40%를 달성했다 하더라도 절감률 30%에 해당하는 절감량을 기준으로 캐시백 금액을 산정합니다.
👉 문의
- 에너지 캐시백 고객센터 - 061 ) 345- 6321~7, 6636
- 국번 없이 123
- 향후 전국 시·도·군별로 안내전화 확대 예정
'🚩 돈굴리는 정보 > ✔ 지금 뜨는 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초복에 먹는 음식 알아보기, 초복 중복 말복 날짜 (2) | 2022.07.15 |
---|---|
2022년 초복, 중복, 말복 날짜 총정리 ~2027년까지 한번에 확인 (2) | 2022.07.15 |
에너지캐시백 지급방법 (2) | 2022.07.14 |
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7/11~ (2) | 2022.07.13 |
코로나 생활지원금 신청 (2) | 2022.07.12 |
댓글